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이름을 들어보신 분이 많이 계실 겁니다.
제 포스팅에서도 몇 번 소개해 드린 인물이기도 하고
[파우스트],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등의 작품을 저술한 인물이고 하죠.
그런데 이러한 작품 들을 읽다 보니 괴테라는 사람 자체에 관심이 가더라고요.
그래서 그의 일생과 관련된 책이 없을까 하고 찾아보다 발견한 책이 바로
페터 에커만이 저술한 [괴테와의 대화]라는 책이었습니다.
페터 에커만이 괴테와 직접 10년간의 만남을 이어오면서
그와 나누었던 대화를 모아둔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괴테라는 사람이 평소에는 어떤 말과 행동을 하고
남을 어떻게 대하는지 눈여겨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괴테와의 대화라는 작품을 읽어보니 확실히 평소 괴테가 어떠한 가치관
아님 생각들을 지니고 삶을 살아가는지 볼 수 있었습니다.
항상 쾌활함을 잊지 않는 사람
:
괴테와 에커만의 만남을 보다 보면 괴테의 몇 가지 특징들을 볼 수 있는데
그중에 가장 눈에 들어왔던 것은 바로 그의 "쾌활함"이었습니다.
이 작품에 나오는 괴테는 혈기 왕성한 젊은 시절이 아닌 70~80세인
노년의 시기를 살아가고 있지만 그의 에너지는 마치 희망을 품은 젊은이의 모습을 보는 것 같습니다.
그는 항상 사람들을 대할 때 그의 명석한 쾌활함을 잃지 않았고
다른 사람들의 언행과 생각들을 진심으로 격려하고 칭찬하였습니다.
그렇다고 그는 무한한 긍정주의자는 아니었으며
자신의 한계를 냉정하게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들의 죽음, 왕후의 죽음 등에도 그는 일상생활을 계속 살아갔고
만약 그러한 소식을 듣지 못했던 이라면 괴테의 다른 점을 파악하지 못했을 겁니다.
그렇게 괴테는 노년의 시기에도 항상 쾌활함과 즐거움을 멈추지 않았고
이러한 모습은 주변 이들에게 많은 힘이 되어주었습니다.
배움을 멈추지 않는 자
:
노년 괴테의 또 다른 특징은 바로 "배움"이었습니다.
괴테는 문학뿐만 아니라 자연과학이나 다른 예술 분야에도 상당한 관심을 보였으며 많은 시간을 공부하고 행하는 데 썼습니다.
방대한 양의 지식과 경험을 축적한 괴테였지만
그는 죽을 때까지 배움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항상 똑똑하고 열망에 가득 찬 젊은이들을 보며
새로운 것을 배우려 하였고, 그의 이러한 태도는 그를 더욱 겸손하고 지적이게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괴테의 태도는 많은 이들로 하여금 영감을 주곤 합니다.
사람들은 보통 어느 정도의 지식과 경험을 쌓으면 더 이상 배울 게 없다
아님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배움을 그만두는데,
이러한 행위는 단순히 자신의 오만함에서 온 착각이며 사실이 아니죠.
이런 것을 보면 오히려 배우고 똑똑한 사람들이 일반인들보다 더욱 공부를 하고 열정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
마치 전교 1등이 도서관에서 마지막으로 남는 이치라고 해야 할까요?
괴테의 10년 동안의 일생을 잠시 바라보면서 다양한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분명 여러분들에게도 적지 않은 영감을 줄 거라 생각합니다.
괴테의 작품을 읽어보시지 않았더라도 읽기에는 큰 부담이 없으니
한 번 괴테라는 인물에 대해 궁금하시면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
위대한 작가의 작품을 연구하다 보면, 다양한 성격의 유익함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그 가운데 주된 이득은 자신의 내면뿐만 아니라, 밖에 있는 다양한 세계를 한층 더 분명히 인식하게 된다는 점에 있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오히려 불편해야지 일이 잘 된다
요새 느끼는 점이 있습니다. 그것은 "불편해야 집중이 잘 된다."라는 것입니다. 즉, 환경이 불편해야 오히려 일의 생산성이 높아진다는 말입니다. 이 말이 상황에 따라서는 맞는 말일 수도 있
learninghome.tistory.com
회복탄력성(Resilience)이란 무엇인가
"회복탄력성"이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영어로는 Resilience라고 부르는데이 말은 실패나 어려움 같은 힘든 상황을 겪은 뒤, 다시 원래 상태로 회복하거나 오히려 더 나아지는 상태를 의미
learninghome.tistory.com
'책방 월드 > 철학-교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은 현재에만 존재하는 것이다 (0) | 2025.03.18 |
---|---|
[괴테와의 대화] 글귀 모음집 (0) | 2025.03.15 |
빛나는 인간관계 명언 모음집 (0) | 2025.03.12 |
마이동풍의 자세를 취하면 인생이 편해진다 (0) | 2025.03.09 |
회복탄력성(Resilience)이란 무엇인가 (2)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