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방 월드/철학-교훈

승부사의 기질 - [조훈현, 고수의 생각법]

by 인생을 책으로 2025. 3. 23.
반응형

 

서양에는 체스가 있다면 동양에는 바둑이 있습니다.

 

서양과 동양을 대표하는 두뇌 보드게임으로서 긴 역사를 갖고 있죠.

 

많은 전 세계인들이 사랑하는 보드게임이기에 과거부터 많은 세계적 대회도 있었고,

 

체스와 바둑을 주제로 만든 애니와 드라마들도 널리 방영되었습니다.

 

 

 

체스와 바둑을 두셔보았던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 보드게임들은 상당한 전략과 두뇌 능력을 요구하는 게임으로

 

깊은 생각을 하지 않으면 상대방을 공략하지 못하고 지게 됩니다.

 

그렇기에 체스와 바둑의 고수들은 어릴 적부터 체스와 바둑을 두면서

 

훈련을 하고 공부를 합니다.

 


한국의 바둑

:

 

 

우리나라에서는 알파고와 바둑을 둔 이세돌 님의 대결이

 

세계적으로 한 번 이슈가 된 적도 있었죠.

 

이세돌 님은 알파고와의 대결에서 0.007%의 신의 한 수를 두며

 

알파고를 상대로 한 게임을 이기게 됩니다.

 

 

이러한 이세돌 님의 등장 전에는 이창호 님이,

 

이창호 님의 등장 전에는 그의 스승인 조훈현 님이 세계 바둑을 휘어잡았습니다.

 

그리고 조훈현 님이 쓰신 [조훈현, 고수의 생각법]에 대해 소개하려 합니다.

 


 

조훈현, 바둑의 대가

:

조훈현 님은 한국 바둑의 대가 중 한 명으로써

 

한국 바둑의 역사를 쓰신 분 중 한 분이십니다.

 

그의 저서를 읽어보면 어떻게 그가 한국인으로서 일본과 중국의 바둑을 이기고

 

평소 어떤 생각과 행동을 하면서 바둑을 대하고 살아왔는지 볼 수 있습니다.

 

 

그는 바둑에만 전념하면서 살아온, 어떻게 보면 문화의 문외한이지만

 

삶 자체가 바둑판과 별 반 다를 거 없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고,

 

자신이 바둑을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을 가지고 삶을 살아갔습니다.

 

 

그는 주어진 환경에 불만을 품지 않고 살아갔으며

 

환경은 자신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따라 결과물이 달라진다 믿었습니다.

 

그리고 항상 자신의 윗사람이든 아랫사람이든 큰 차이 없이

 

겸손한 태도를 보이며 그들을 대하였고,

 

그는 자신이 세계 1인 자든 아님 꼴찌든 항상 겸손함을 잃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승부사의 원초적인 기질을 얘기하며

 

승부사에게 필요한 여러 조건들을 자신의 실제 경험에 빗대어 말합니다.

 

이러한 그의 피와 땀이 담긴 조언들은 많은 젊은이들에게 힘이 되어주는

 

말들로 그들에게 뜨거운 열망을 불어넣어 주곤 합니다.

 

 


 

 

저도 어릴 적에 항상 바둑을 두었던 사람이기에

 

어릴 적, 아버지의 바둑을 두고 엎치락뒤치락 했던 기억들이 떠올라

 

기분이 참 묘했습니다.

 

그리고 삶은 하나의 바둑판과도 같다는 조훈현 님의 말씀에 공감을 하며

 

그의 주옥같은 말들을 하나하나 담으려 하고 있습니다.

 

제가 뛰어난 승부사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어릴 적부터 지는 것을 항상 싫어하고 분하게 여기긴 했습니다.

(하긴 누가 지는 것을 좋아할까요)

 

그리고 다음번에는 지지 않으려 더욱 노력하곤 했죠.

 

지금 생각해 보면 이런 기억들이 제 자신감을 더 키워주고

 

실패로부터 오는 쓸쓸함과 고통을 더 잘 인내하게 해주는 기폭제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조훈현

 

 

 


 

 

김진명 소설 [카지노] - 돈의 끝이란

저는 자주 돈에 대해서 얘기하곤 합니다. 돈과 관련된 경제 뉴스를 매일 챙겨 보고, 경영과 부의 책들도 찾아보고 주식으로 성공하신 분들의 말씀도 들으면서 주식을 배우고 있습니다. 그런데

learninghome.tistory.com

 

 

인생은 현재에만 존재하는 것이다

가장 생산적이지 않은 시간이 어떤 것인지 아시나요? 바로 걱정하고 불안해하는 시간입니다. 금보다 값진 시간들을 이보다 너 낭비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시간의 중요

learninghom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