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각 월드

후우...발표 공포증을 어떻게 넘어서지

by 인생을 책으로 2025. 9. 15.
반응형

 

처음 사람을 볼 때

호감상인지 아님 비호감상인지 판단하는데

고작 50초 밖에 소요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즉, 누군가 앞에서 발표를 할 때에도

50초 안에 이 사람을 신뢰할만한지,

아니면 들을 가치가 별로 없는지 판단한다는 것이죠.

 

 


 

이놈의 발표 공포증

:

저는 어릴 적부터 발표 공포증이 있었습니다.

 

누군가 앞에서 내 목소리를 높여 말한다는 것에

크나큰 두려움을 갖고 있었죠.

 

그래서 항상 발표를 할 때마다

손과 발은 덜덜 떨리기 시작하고,

 

조금만 발음이나 말을 실수하면

얼굴이 홍당무처럼 붉어지곤 했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나에 대해 뭐라 할까...

라는 생각이 제 머릿속을 한 번 지배하면

그 뒤에는 발표 생각이 잘 나지 않더라고요.

 

긴장을 하니 성대도 평소보다 조여져서

목소리조차 잘 나오지 않을 때도 있었습니다.

 


 

저는 대학교 학과 특성상

팀 프로젝트와 발표를 많이 하는데요,

 

이러한 특성 때문에 너무 싫음에도 불구하고

남들 앞에 나서서 발표를 한 적이 꽤 있습니다.

 

물론 처음보다는 훨씬 나와졌다고 할 수 있지만

아직도 제가 만족할 수준만큼은 절대 안 나온다 할 수 있죠.


 

 

다름 아니라 오늘도 첫빠따로 발표를 하게 되어

짤막하게 발표를 했는데,

 

전체적으로 매끄럽지도 못하고

비교적 딱딱한 발표로 끝냈습니다.

 

다른 여학우분들은 긴장감이라곤 한치도 안 보이고

처음부터 끝까지 스무스하게 하시더라고요.

 

그거 보고 교수님도 떨림이 없다, 잘한다라고 피드백을 주시고요.

(그럼 저는 뭐가 되나요 교수님... ㅠ)

 

 

물론 다른 사람들은 제 발표에 대해

관심이 없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지만,

 

뇌가 자꾸 그때의 장면을 리플레이해서

아마 오늘 밤은 약간의 이불킥을 동반한 수면이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웃긴 거는 외국인들 앞에서 하는 영어 발표는 잘합니다.

왜 모국어인 한국어가 더 힘든지 모르겠습니다.)

 


 

청심환을 먹는다는지

크게 숨을 쉰다는지

 

여러 가지 발표 공포증을 없애는 방법들은 존재하지만

많이 해보고 시행착오를 겪는 것만큼

좋은 방법은 없는 것 같네요.

 

후우... 나중에 회사 가서는 이런 모습 보이지 않게

대학교에서(?) 연습 좀 해야겠습니다... ㅠ

 

 


 

발표

 


 

 

겨울보다는 여름이 이제 더 좋다

지금은 겨울보다 여름이 더 좋다. 저는 몸에 살이 별로 없어 추위를 잘 타는 사람에도 불구하고항상 여름보다는 겨울을 선호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겨울이 선사하는 차가움.이 차가움을 피하기

learninghome.tistory.com

 

 

게으름을 없애주는 책 3가지

인간은 천성적으로 게으른 걸까요. 저도 정신을 똑바로 차리지 않으면 벌써 게을러져 있는 제 자신을 발견하곤 합니다. '이거 해야 되는데...' '이번 주안까지 끝내야 되는 과제인데...' 머리로는

learninghome.tistory.com

 

반응형